
‘낫다’, ‘낮다’, ‘낳다’는 발음이 비슷해 많은 사람들이 헷갈리는 단어입니다.
특히 글을 쓸 때 자주 실수하기 쉬운 표현 중 하나입니다.
이번 글에서는 각 단어의 뜻과 차이점, 사람들이 헷갈리는 이유, 자주 틀리는 예시,
그리고 쉽게 구별하는 방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.
1. 왜 헷갈릴까?
세 단어의 발음이 매우 비슷하여 혼동하기 쉽다.
‘낫다’와 ‘낮다’는 특히 많이 헷갈리며, ‘낳다’까지 더해지면 혼란이 가중된다.
품사가 다르지만, 문장 속에서 비슷한 형태로 보일 수 있어 잘못 쓰는 경우가 많다.
2. ‘낫다’ – 더 좋은 상태로 변화하는 것 (동사)

‘낫다’는 동사로, 좋아지는 상태를 의미합니다. 즉, 병이 회복되거나, 비교했을 때 더 나은 경우에 사용됩니다.
✔ 올바른 예문
- 감기가 거의 낫다. → (병이 회복됨)
- 이 약을 먹으면 두통이 낫다. → (아픈 증상이 회복됨)
- 대책 없이 기다리는 것보다는 직접 찾아가는 것이 낫다. → (두 가지를 비교했을 때 더 나은 선택)
- 지금 출발하는 것이 늦게 가는 것보다 낫다. → (어떤 선택이 더 좋은지를 비교)
✔ ‘낫다’ 활용형 예시
낫다 | 감기가 낫다 |
나아 | 감기가 점점 나아지고 있다 |
나았 | 어제보다 몸이 나았어 |
나을 | 좀 쉬면 건강이 나을 거야 |
> 정리: ‘낫다’는 병이 회복되거나, 두 가지를 비교했을 때 더 좋은 상태를 의미하는 동사입니다.
3. ‘낮다’ – 높이나 수준이 아래쪽에 있음 (형용사)

‘낮다’는 형용사로, 높이에 대한 개념이나 수준, 정도가 아래쪽에 있을 때 사용합니다.
✔ 올바른 예문
- 이 산은 저 산보다 낮다. → (높이가 더 아래에 있음)
- 오늘 기온이 어제보다 낮다. → (온도가 더 내려감)
- 그의 목소리는 매우 낮다. → (소리의 크기나 높이가 낮음)
- 시험 점수가 생각보다 낮다. → (점수가 기대보다 낮은 수준임)
✔ ‘낮다’ 활용형 예시
원형 | 활용형 예문 |
낮다 | 건물의 층이 낮다 |
낮아 | 건물이 생각보다 낮아 보인다 |
낮았 | 어제 기온이 오늘보다 낮았어 |
낮을 | 이 시험의 난이도가 낮을 거야 |
> 정리: ‘낮다’는 높이나 수준이 아래에 있을 때 사용하는 형용사입니다.
4. ‘낳다’ – 아이를 출산하거나,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는 것 (동사)

‘낳다’는 동사로, 출산하거나 어떤 결과를 만들어내는 경우에 사용됩니다.
✔ 올바른 예문
- 어머니가 나를 낳다. → (출산의 의미)
- 닭이 알을 낳다. → (알을 생산하는 의미)
- 좋은 습관이 성공을 낳는다. → (새로운 결과를 만들어냄)
- 노력은 좋은 결과를 낳는다. → (어떤 행동이 결과를 만들어냄)
✔ ‘낳다’ 활용형 예시
원형 | 활용형 예문 |
낳다 | 그녀는 아이를 낳다 |
낳아 | 그녀는 아이를 낳아 기르고 있다 |
낳았 | 그는 세 명의 아이를 낳았어 |
낳을 | 이 선택이 어떤 결과를 낳을까? |
> 정리: ‘낳다’는 출산하거나, 어떤 결과를 만들어내는 동사입니다.
5. ‘낫다’, ‘낮다’, ‘낳다’ 쉽게 구별하는 방법
문장에서 의미를 확인하자! ‘더 좋은 상태’인지, ‘높이·정도’의 문제인지, ‘출산/결과’인지 구별하면 됨
- ‘좋아지는 상태’ → 낫다
- ‘높이나 수준이 아래쪽’ → 낮다
- ‘출산하거나, 어떤 결과를 만들어냄’ → 낳다
✔ 예제 테스트
- 감기가 ○○. → 병이 좋아지는 상태 → 낫다
- 온도가 ○○. → 기온이 내려감 → 낮다
- 아이를 ○○. → 출산의 의미 → 낳다
- 점수가 ○○. → 성적이 기대보다 아래 → 낮다
- 이 방법이 더 ○○. → 비교했을 때 더 나은 선택 → 낫다
- 이 결정이 큰 성공을 ○○. → 결과를 만들어냄 → 낳다
6. 잘못 쓰기 쉬운 예시

잘못된 문장 | 올바른 문장 | 설명 |
내 키가 친구보다 낫다. | 내 키가 친구보다 낮다. | 키는 높낮이를 의미하므로 ‘낮다’가 맞음. |
이 방법이 더 낮다. | 이 방법이 더 낫다. | 비교했을 때 더 나은 방법을 의미하므로 ‘낫다’가 맞음. |
어머니가 나를 낫다. | 어머니가 나를 낳다. | 출산을 의미하므로 ‘낳다’가 맞음. |
좋은 습관이 좋은 결과를 낫는다. | 좋은 습관이 좋은 결과를 낳는다. | 어떤 결과를 만들어냄을 의미하므로 ‘낳다’가 맞음. |
이 표를 통해 자주 틀리는 표현과 올바른 표현을 비교해 보면, 보다 쉽게 차이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.
문맥에 따라 적절한 단어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7. 핵심 요약

표현 | 의미 | 쉽게 구별하는 방법 |
낫다 | 병이 회복되거나, 비교했을 때 더 좋은 상태 | ‘좋아지는 상태’나 ‘비교’를 의미하면 ‘낫다’가 맞다. |
낮다 | 높이나 수준이 아래에 있음 | ‘높이’나 ‘정도’가 낮다는 의미이면 ‘낮다’가 맞다. |
낳다 | 출산하거나, 어떤 결과를 만들어냄 | ‘출산’이나 ‘새로운 결과’를 의미하면 ‘낳다’가 맞다. |
이제 ‘낫다’, ‘낮다’, ‘낳다’의 차이를 확실히 이해하셨나요? 😊
비슷한 맞춤법이나 헷갈리는 표현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 주세요!
다음 글에서 다뤄보겠습니다. ✍️
✅ 다른 맞춤법 확인해보기! 💚
올바른 맞춤법 ① - 왠지 vs 웬지 뭐가 맞아?
‘왠지’와 ‘웬지’의 올바른 사용법많은 사람들이 ‘왠지’와 ‘웬지’를 혼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 특히 인터넷상에서는 ‘웬지 기분이 이상하다’ 또는 ‘웬지 불길한 예감이
10dot0.tistory.com
'맞춤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‘-던’과 ‘-든’의 차이, 사용법 정리 (0) | 2025.03.28 |
---|---|
‘안’과 ‘않’의 차이, 확실하게 구별하는 법 (0) | 2025.03.27 |
‘되’와 ‘돼’의 차이, 헷갈리지 않고 쓰는 법 (1) | 2025.03.26 |
‘결제’와 ‘결재’의 차이, 헷갈리지 않도록 완벽 정리! (0) | 2025.03.25 |
‘애매하다’와 ‘애매모호하다’ 어떤게 맞을까? (0) | 2025.03.24 |